기존에 클러스터를 생성했을때의 예상보다 적거나 많은 리소스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설정한 Nodegroup의 노드 갯수를 증가/감소시킬 수 있다.
기존에 생성해둔 클러스터의 yaml 파일의 일부가 아래와 같다.
managedNodeGroups:
- name: managed-ng-public-01
instanceType: t3.medium
subnets:
- 10.105.10.0/24
- 10.105.11.0/24
desiredCapacity: 1
minSize: 1
maxSize: 6
- name: managed-ng-private-01
instanceType: t3.medium
subnets:
- 10.105.20.0/24
- 10.105.21.0/24
desiredCapacity: 3
privateNetworking: true
minSize: 3
maxSize: 9
위의 설정에 따르면, 트래픽이 많지 않은 현재의 경우 아래 개수의 노드가 생성된다.
- Public 서브넷에 위치한 노드그룹의 노드의 desired capacity가 1이고 최소 노드의 개수가 1이므로, 생성된 노드의 개수가 1개 일 것이다.
- Priviate 서브넷에 위치한 노드그룹의 경우, desired capacity가 3이고 최소 노드의 개수가 3이므로 생성된 노드의 개수가 3개 일 것이다.
명령어를 입력해서 정확하게 확인해보자.
아래 사진과 같이 Public node 1개, Private node 3개가 있는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제, Private Node Group의 node 개수를 1개로 감소시켜보자.
Desired node 개수를 1개로 줄이고, node의 최소 개수도 1개로 줄이면 된다.
따로 클러스터의 설정파일을 수정하거나 클러스터를 재생성 할 필요 없이 간단하게 명령어로 가능하다.
#eksctl scale nodegroup --name <node group 이름> --cluster <cluster 이름> --nodes <desired capacity node 수> --nodes-min <최소 node 수>
$ eksctl scale nodegroup --name managed-ng-public-01 --cluster eks-mngroup-cluster --nodes 1 --nodes-min 1
#아래 명령어로 다른 옵션도 확인 가능
$ eksctl scale nodegroup --help
설정이 잘 적용되었는지 확인해보자.
위와 같이 설정한대로, Private 노드그룹의 노드 개수가 1개로 감소한것을 확인 할 수 있다.
'Amazon AWS > E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EKS에서 CA(Cluster Autoscaler) 구성하기 (0) | 2022.11.13 |
---|---|
Configmap, Secret 사용하기 (0) | 2022.10.16 |
Ingress 사용을 위한 AWS Loadbalancer Controller 설치 (0) | 2022.09.04 |
EKS Managed node group 구성 (0) | 2022.08.28 |
EKS Cluster 배포를 위한 VPC 구성 (0) | 2022.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