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mazon AWS/EKS9

EKS Managed Nodegroup의 인스턴스 유형 변경하기 EKS 클러스터에서 Managed Nodegroup의 인스턴스 유형을 바꾸려고 한다. 노드그룹의 desired capacity등은 eksctl upgrade 명령어로 간편하게 가능하지만, 인스턴스 type을 바꾸기 위해서는 원하는 유형의 새로운 노드그룹을 생성하고, 기존 노드그룹에서 마이그레이션해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변경해야 한다. 그래서 아래의 문서를 참고해서 진행하되, 각 상황에 맞게 변경해서 진행하면 된다. https://docs.aws.amazon.com/ko_kr/eks/latest/userguide/migrate-stack.html 새 노드 그룹으로 마이그레이션 - Amazon EKS 새 노드 그룹으로 마이그레이션 이 주제에서는 새로운 노드 그룹을 생성하고, 기존 애플리케이션을 새 그룹으로 안.. 2023. 9. 3.
IAM 역할을 수임하도록 Kubernetes 서비스 계정 구성 후 Pod에 권한 적용 EKS에 헬름차트로 구성한 Fluentd에서 AWS 데이터를 보낼 때 cloudwatch에 대한 권한이 필요하다. 이때, pod가 클라우드워치 수행 권한이 있는 IAM 역할을 위임하도록 serviceaccount를 구성하여 해당 파드에서 Cloudwatch로 로그를 보낼 수 있도록 한다. 💡Prerequisites: - EKS 클러스터 - IAM OpenID Connect(OIDC) 공급자 확인: aws eks describe-cluster --name --query "cluster.identity.oidc.issuer" --output text - AWS CLI 버전 2.9.20 이상 - kubectl 설치 - kubectl config 파일 (~/.kube/config) 1. IAM 정책 생성 $ c.. 2023. 4. 29.
Helm 명령어 차트 조회 helm ls -n 전체 네임스페이스 조회 helm ls -A 차트 생성 helm create 차트 삭제 helm delete -n 차트 문법 확인 helm lint / 모든 네임스페이스 릴리즈 조회 helm list -A 테스트 배포 helm install --debug --dry-run 실배포 helm install -n 릴리즈 삭제 helm uninstall -n 릴리즈 업그레이드(수정사항 반영) helm upgrade -n 2023. 1. 22.
AWS EKS에서 CA(Cluster Autoscaler) 구성하기 eksctl을 사용해서 관리형 노드 그룹으로 클러스터를 구성하면 ClusterConfig에서 설정한대로 노드 그룹에 대한 Auto Scaling group이 자동으로 생성된다. 이후에 eksctl 명령어를 이용해서 오토스케일링 그룹의 min, max, desired size 값 등을 수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오토스케일링 그룹은 자동으로 pod의 pending을 인식해서 노드를 늘려주지는 않았다. EKS에는 각 인스턴스의 종류에 따라서 사용 가능한 Pod의 수가 정해져 있는데, 이 pod의 수를 넘어가면 생성되는 pod가 pending 상태로 멈춰있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런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pod의 pending상태를 인식하고 node를 증감시키도록 클러스터 오토스케일링이 필요하다. 아.. 2022. 11.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