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4 Github - Code Owner 설정 Code Owner 설정Code Ownercodeowner는 소유한 코드에 대한 수정이 일어나서 PR이 open된 경우에 자동으로 review를 요청받게 된다. 기본적으로는 codeowner를 설정하게 되면 코드소유자에게 review를 요청하도록 자동으로 지정되며, 이때 추가 설정으로 review를 필수/승인을로 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code owner는 CODEOWNERS 단일 파일 내에서 설정하며 레포지토리의 코드마다 여러개의 코드소유자를 다르게 설정 할 수 있고, branch 별로 등록된 CODEOWNERS 파일의 코드 소유자 정보를 가져오므로 브랜치별로도 다른 owner들을 설정 할 수 있다.Code Owner 설정 방법Codeowner를 설정하고자 하는 브랜치에 CODEOWNERS파일을 추가.. 2025. 3. 15. 로컬에 남아있는 불필요한 branch 삭제 로컬 브랜치 목록 확인 git branch 원격 브랜치 목록을 최신으로 업데이트 git fetch --prune 원격 브랜치 목록 확인 git branch -r 로컬 브랜치 삭제 git branch -d branch_name # force delete git branch -D branch_name 원격 브랜치 삭제 git push origin --delete branch_name 연결이 끊긴 로컬 브랜치 목록을 확인 git branch -vv | grep ': gone]' # 목록 업데이트 후 확인 git fetch --prune && git branch -vv | grep ': gone]' 로컬에 남아있는 원격 연결이 끊긴 브랜치 삭제 git fetch --prune && git branch -vv |.. 2023. 12. 24. git push 되돌리기 Git을 쓰다보면, 간혹... 올리면 안될 정보를 Commit하고 Push까지 해버려서 깃허브에 공개해버리는 경우가 있다. 대부분 조심해서 그렇게 하지 않겠지만, 얼마전에 스프링부트 테스트 코드에 API 키를 포함해서 Push까지 해버린적이 있었다. (main 코드가 아니라 부주의 했다....ㅜㅜ) 다행히 거의 바로 알아차리고 원격저장소에 Push한 내역을 되돌리는 방법을 찾아 되돌렸다. Push한 사항을 되돌리는 부분을 정리해보자. 먼저, 워킹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Git에 연결되어 있는 레포지토리 디렉토리이다. $ cd git/ Git 커밋 목록을 확인한다. 꼭 필요한 과정은 아니지만 되돌아가고자 하는 커밋 내역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한다. $ git reflog 이제, 취소하고자 하는 git comm.. 2022. 5. 22. Git pull / fetch/ stash 사용법 (error: 병합하기 전에 변경 사항을 커밋하거나 스태시하십시오 해결) 다른 팀원들과 작업하다보면, 내가 작업하는 와중에 다른사람이 먼저 수정 후 Commit하는 경우가 있다. 이럴 경우에 바로 Commit and Push 하면 충돌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먼저 pull 이나 fetch를 사용하여 최신 커밋상태로 업데이트 한 후 commit을 진행한다. git pull? git fetch? pull과 fetch 모두 원격저장소의 커밋 사항을 로컬저장소로 가져오는 기능이다. 두가지 중에 본인에게 맞는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차이점은? pull: 원격저장소의 커밋사항들을 모두 가져와 로컬저장소에 병합까지 수행한다. 한번에 두가지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편리하지만 변경사항을 확인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fetch: 원격저장소의 커밋사항들을 가져오기만 한다. .. 2022. 5. 1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