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azon AWS36 IoT Core에서 DynamoDB로 데이터 전달하기 IoTCore로 들어오는 데이터들을 아마존의 NoSQL서비스인 DynamoDB로 전달해서 데이터를 쌓아놓으려 한다. IoTcore 콘솔에 접속해서 왼쪽 메뉴바의 메세지라우팅 -> 규칙을 선택한다. 규칙 창에서 규칙 생성을 클릭 후, 생성되는 규칙 속성 지정 창에서 이름을 입력하고 (규칙 설명 및 태그는 선택사항) 넘어간다. 내경우에는 태그에 해당 규칙에 적용할 토픽을 받는 사물의 이름을 입력해서 추후에 구분가능하도록 했다. SQL문 구성에서 SQL문을 작성하면 되는데, FROM 값에 쿼리를 적용할 토픽을 입력하면 된다. 아래 내가 작성한 SQL문에서 'obd/+/data'라고 되어 있는데, 여기서 '+'는 모든 값을 받는다는 뜻이다. 또한, 해당 토픽의 데이터의 모든 항목과 함께 topic을 항목으로 넣.. 2022. 6. 12. EC2 인스턴스에 탄력적 IP (EIP) 연결하기 기본적으로 AWS의 인스턴스는 처음 생성될 때 부여받은 IP를 유지하지 않는다. 인스턴스가 중지되고 재시작 될 때, 매번 새로운 IP를 할당 받는 방식이다. 24시간 가동하는 서버가 아닌 이상에는, 요금을 절약하기 위해 인스턴스를 사용하지 않을때는 중지했다가 시작하는것이 일반적인데 이렇게 되면 매번 IP가 바뀌는 것이다. IP가 계속해서 변경되면, IP 주소를 이용해 연결 설정을 해놓은 부분들을 계속 수정해 주어야 하고, 서버에 접속할 때에도 매번 Ip를 확인해야 한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해 탄력적IP를 이용해 인스턴스의 IP를 고정되도록 설정 할 수 있다. AWS의 고정IP는 탄력적 IP (Elastic IP, EIP)라고 한다. EC2콘솔 메뉴에 보면 네트워크 및 보안 카테고리에 탄력적 I.. 2022. 5. 22. EC2에서 RDS 접속하기 EC2에서 RDS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보안그룹에서 기본적인 설정을 해주어야 한다. 일단 RDS에 접속을 해야하므로, 접속 설정을 해줄 RDS의 보안그룹을 연다. 데이터베이스 목록에서 원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하여 접속 후, 보안항목의 VPC보안그룹을 선택한다. 보안그룹 페이지에서 인바운드 규칙을 선택하고, "인바운드 규칙편집"을 클릭한다. 인바운드 규칙 편집 창에서 유형을 MYSQL/Aurora로 선택하면 포트가 자동으로 지정(3306) 된다. 그리고, EC2 연결을 위해서 소스에 사용자지정 - EC2보안그룹ID 를 입력하고 규칙을 저장하면 된다. (EC2의 보안그룹 ID는 직접 입력해도 되지만, 소스의 돋보기 창을 클릭하면 나오므로 거기서 선택해도 된다.) 이제 RDS에서의 설정은 모두 완.. 2022. 5. 22. EC2 생성할때 패키지 기본 설치 되도록 하기 일반적으로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나면 기본적으로 설치하는 패키지들이 있다. 예를들어 자바 같은 경우에는 EC2를 사용하게 되면 거의 필수적으로 설치해서 사용하게 되는데, 생성 후에 일일히 설치하는것보다 생성시에 설치되도록 세팅하면 조금 더 편리하게 EC2를 사용할 수 있다. EC2 콘솔에서 EC2 생성화면에서 설정해주면 된다. 특히나, 같은 사양의 서버를 여러개 만들어야 하는경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서 인스턴스 2개를 생성하되, 자바를 생성과 동시에 설치되도록 하려고 한다. EC2 생성화면 에서 OS이미지, 보안그룹 등 기본 설정을 마치고, 가장 하단에 고급 세부정보를 열어준다. (보안그룹이나 키페어등 기본 설정은 EC2 인스턴스 생성 및 실행 글을 참고하면된다.) 고급 세부 정보의.. 2022. 5. 10. 이전 1 ··· 5 6 7 8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