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mazon AWS36

EKS Managed node group 구성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는 여러개의 노드로 이루어져 있는것인데, AWS EKS를 이용한다면 Master Node는 AWS 에서 제공 및 관리해주므로 Worker node들만 구성해 주면 된다. 이때, AWS에서는 노드의 유형을 세가지를 제공한다. 여기서는 EKS 관리형 노드그룹(Managed Node group)을 사용한다. 관리형 노드그룹은 나머지 두개의 노드유형인 자체관리형 노드그룹과 AWS Fargate 의 중간 기능(?)의 유형이다. 관리형 노드 그룹은 클러스터의 노드(Amazon EC2 인스턴스) 프로비저닝 및 수명 주기 관리를 자동화하여 자체관리형 노드그룹보다 관리가 간편하다. AWS Fargate는 직접 최적화 및 설정을 할 필요 없이 AWS에서 완전히 관리해 주는 서비스이나, 다른 노드유형보다 .. 2022. 8. 28.
EKS Cluster 배포를 위한 VPC 구성 EKS Cluster를 본격적으로 생성하기 전, 클러스터를 배포할 VPC를 먼저 구성한다. VPC를 생성하는 방법은 콘솔, CLI, Cloudformation 등이 있다. 이번 클러스터 구성에서는 Cloudformation을 사용해서 VPC를 생성하겠다. Cloudformation 이란? Cloudformation은 AWS의 리소스를 템플릿 파일을 작성해서 구성 및 프로비저닝 할 수 있는 코드형 인프라(IaC) 서비스이다. Cloudformation을 사용하면 AWS 리소스를 개별적으로 생성하고 구성 할 필요가 없으며, 인프라 관리 및 복제가 간편하다. 템플릿 파일은 yaml 혹은 json 파일로 작성할 수 있다. VPC를 어떻게 구성 할지는 각자의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이번에는 두개의 가용영역에 퍼.. 2022. 8. 17.
EKS 클러스터의 Node group 설정 수정하기 기존에 클러스터를 생성했을때의 예상보다 적거나 많은 리소스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설정한 Nodegroup의 노드 갯수를 증가/감소시킬 수 있다. 기존에 생성해둔 클러스터의 yaml 파일의 일부가 아래와 같다. managedNodeGroups: - name: managed-ng-public-01 instanceType: t3.medium subnets: - 10.105.10.0/24 - 10.105.11.0/24 desiredCapacity: 1 minSize: 1 maxSize: 6 - name: managed-ng-private-01 instanceType: t3.medium subnets: - 10.105.20.0/24 - 10.105.21.0/24 desiredCapacity: 3 privateN.. 2022. 7. 24.
EC2에서 다른 리전의 EFS(Elastic File System)에 마운트하기 !! 이글은 아래와 같은 환경이 갖춰진 상태에서 진행되는 방법이다. 1. 각 리전의 vpc 간의 피어링 연결이 되어 있어야 한다. (AWS에서 VPC Peering 연결을 통해 다른 리전에 접근하기 참고) 2. EC2에 탑재할 EFS가 ec2와 다른 리전에 존재해야 한다. 일반적으로는 동일한 리전에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이런경우가 많이 발생하지 않겠지만, 불가피하게 다른 리전의 EFS를 마운트 시켜야하는 상황이 있었다. EFS를 탑재해 본적없는 오하이오 리전의 EC2에 서울리전의 EFS를 연동하려고 한다. 1. 보안그룹을 설정한다. EFS의 보안그룹의 인바운드 규칙을 추가해주면 된다. EFS에 접근하고자 하는 EC2의 VPC의 CIDR블록을 추가한다. -> 이때, 아래 사진과 같이 유형에서 NFS를 선택.. 2022. 7. 17.